주로 카페나 포럼 형태를 띄고 있는 곳입니다. 예를 들어 Slack, Discord, Reddit 같은 곳이에요. 국내를 예로 들면, 스타트업 커뮤니티가 운영되는 Slack, Discord, 카카오 오픈채팅방, 페이스북 그룹 등이 대표적입니다. 타겟 유저가 누구냐에 따라 바뀔 수 있어요.
주로 전통적인 소셜 미디어들이에요. Facebook, Instagram, Twitter, LinkedIn, Newsletter가 대표적입니다. 1번에서 충분한 Audience를 확보했다면, 자연스럽게 그들을 나의 소셜 미디어로 데려오세요. 그리고 더 자유롭게 Building in Public하세요. 소셜 미디어의 강점은 사람들과 더 깊게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검색이 가능하다는 것은, 주로 Google 검색이나 Youtube 같은 채널이에요. 주요 특징으론 알고리즘과 SEO가 중요하며, 잘 작성된 컨텐츠는 죽지않고 오랫동안 도움을 줍니다.
디스콰이엇은 지속적으로 SEO를 개선하고 있으며, 실제로 검색을 통한 유입이 늘어나고 있어요. 메이커분들이 작성한 프로덕트/메이커로그/팀빌딩 포스트가 더 자주 노출될 수 있도록 할 거예요!
종합적으로 디스콰이엇은 1~3 모두 적합한 최적의 Building in Public 채널이며, 더욱 강력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곳이 될 겁니다. 여전히 디스콰이엇은 초기인만큼, 일찍 Building in Public을 시작하는 분들은 미래에 더 많은 해자를 가져갈 수 있을 거예요.
<aside> <img src="/icons/backward_purple.svg" alt="/icons/backward_purple.svg" width="40px" /> 이전 페이지 : Building in Public의 Dos & Don’ts
</aside>
<aside> <img src="/icons/forward_purple.svg" alt="/icons/forward_purple.svg" width="40px" /> 다음 페이지 : Building in Public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것
</aside>